1. 우라늄 정련 기술
우라늄은 광산에서 채굴한 원석 상태로는 원자력 발전에 바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광석에는 보통 0.1% 내외의 소량의 우라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우라늄을 고순도로 가공하기 위해 정련(refining) 과정을 거칩니다.
이 정련 과정에서는 용매 추출, 침전, 건조 등의 화학적 처리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우라늄 정광(U₃O₈)이라는 고순도의 가루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이 가루는 핵연료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라늄-235의 1g은 석탄 3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을 만큼, 매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2. ACSR 전선 구조
ACSR(Aluminum Conductor Steel Reinforced)는 바깥층이 알루미늄, 중심이 강철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의 전선으로, 해안 지역과 고압 송전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알루미늄은 전도성이 높고 가벼우며, 강철은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류는 고주파일수록 도체 외부로 흐르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깥층의 알루미늄이 주요한 도전체로 기능하고, 내부의 강철은 인장력을 보완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해안처럼 염분으로 인한 부식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 안정적인 송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3. 핵심 용어 요약
구분 | 원어 | 일반 용어 | 설명 |
---|---|---|---|
우라늄 정련 | Refining | 고순도 가공 | 광석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핵연료용 고순도 우라늄을 생산 |
우라늄 정광 | U₃O₈ | 우라늄 가루 | 정련을 거쳐 생산된 고순도 우라늄 가공물 |
ACSR 전선 | Aluminum Conductor Steel Reinforced | 알루미늄-강철 복합 전선 | 강도와 전도성을 동시에 갖춘 고전압 송전선 |
표피효과 | Skin Effect | 외곽 도체 전류 흐름 | 전류가 고주파일수록 도체의 외곽을 따라 흐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