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400 자연과학

인간의 감정은 어디서 오는가?

Posted on 2025년 3월 11일 1:42 오전


인간의 감정은 어디서 오는가?

감정은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상태입니다. 또 우리는 평생 감정적인 문제를 의식하고 있죠. 의견 충돌 등의 감정적 소용돌이 속에 살면서 감정을 어느 정도 제어해보고 싶어 하죠. 간단치 않고 거의 평생을 노력해도 대부분 별 효과가 없이 속수무책인 것을 느낍니다. 감정이 중요한 것은 우리의 삶의 질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감정을 어떻게 잘 제어하는지에 따라 삶의 질이 향상되거나 아주 험악해지기도 하죠.

조금 더 생리적으로, 브레인 사이언스적으로 좀 살펴보고 싶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는 방식은 진화론적인 관점입니다.

과학적 접근이 쉽지는 않습니다. 감정은 일어나는 것. 시간적 상황이고 의외로 오래 가지 않습니다. 어떤 측면에서 좋은 소식이죠. 물론 노력에 의한 감정도 있지만 대부분 감정은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것. 순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제어를 못하면 어렵다는 거죠. 감정에 관한 문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엄청 빠르고 제어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감정이 일어나는 순간 감정의 방아쇠가 당기는 순간을 봐야 하는데 이것은 오래 수행한 스님들도 어려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방아쇠에 불이 붙기 전에 예측을 해야 됩니다.

감정이 강한 힘을 발휘하는 이유는 진화적으로 그것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감정이 없으면 우리는 결정을 하기 힘들어요. 감정의 진화 관점에서 크게 세 가지 팩터로 보면 통증 조절하고 관련이 있습니다.

가장 근본적인 것은 통증이 우리 손가락이나 발가락 말단에서부터 리얼하게 올라오잖아요. 그러면 브레인 척추 쪽에서 올라와서 브레인 스템 쪽으로 편도체쯤 올라가면 그게 고통으로 바뀌어요. 통증에서 고통이 되는 것. 정보를 더 많이 링크하는 거죠. 그럼 고통이 돼요. 그래서 통증은 느끼지만 고통은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는 사람이 많아요. 통증은 굉장히 생리적인 거고, 고통은 그 위에서 그 사람이 얼마나 험악한 일을 많이 당한 사람은 보통 사람이 느끼는 통증도 참을 수가 있는 거예요. 예를 들면 관우 운장이 독화살을 빼내는데 바둑을 뒀다 그러잖아요.

그러면 통증은 있었는데, 고통은 참을 수 있다는 거죠. 그래서 처음 브레인을 공부해보면 통증하고 고통을 분리하라. 다른 프로세스다. 리얼하게 통증에서 중간 단계 고통으로 더 넓게 정보가 처리되고 그 위에 올라가면 최고위 브레인 피질들이 있습니다. 전전두엽이나 전대상회로 올라가면 이게 고뇌로 바뀝니다. 그래서 통증 고통 고뇌. 고뇌 정도 되면 우리 부처님이 그것을 하나의 진리 차원까지 승화시켰죠. 그래서 불교에서는 고성제 苦聖言帝라고 하죠 어떻게 통증이 고통으로 바뀌고 올라가면 인생 전체에 대한 삶의 태도가 되는 거죠. 그걸 이제 고뇌라 그러죠. 그래서 그런 출발점이 통증 조절에서 시작을 하는 거예요.

두 번째 감정은 감정의 가장 코어는 통증에서 시작한다고 보시면 돼요. 그러면 나한테 해를 입힌 것에 대해서는 회피 반응이 일어나요. 나한테 이득이 되는 것에는 접근을 해요. 그래서 우리의 감정의 뿌리는 명확하게 접근하고 회피 반응에서 출현하는 겁니다. 감정이 행동으로 바뀌는 핵심은 매 순간 어떤 행위에 대한 비용하고 그 결과에 이득을 저울질한다는 것. 이 시간은 굉장히 길어질 수가 있고, 또 저울질을 잘 못하기 때문에 사기꾼한테 속는 경우도 있습니다.

처음 들었을 때는 이야기가 그럴 듯 하니까 접근을 하죠. 근데 좀 더 깊이 생각해보면 숨기고 있어요. 어떤 행위에 대한 이득하고 손실을 계산하는 것이 다층적.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처음에는 많이 속는 척. 고수들은 어떻게 합니까? 처음에 아낌없이 주잖아요. 나중에 이기는 거죠. 이득하고 손실의 계산이야말로 브레인 진화에서 가장 핵심입니다. 그래서 이득을 유도하기 위해서 나온 게 보상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으로 손해보다 이득이 2배 정도 많아야 행동을 합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햄릿형으로 계속 생각만 하는 거죠.

접근과 회피반응이 우리가 하는 모든 감정의 뿌리입니다. 접근해서 얻는 이득하고 그 접근해서 얻는 손실을 계산을 해야 되는데 그게 남녀관계든 사업이든 자기 건강 문제든 모든 걸 따졌을 때 그 두 가지를 저울질 하는 것이 올라가면서 굉장히 복합적으로 돼 있죠. 눈에 보이는 즉각적 보상 쪽에 따라 행동하는 것은 하수.

두 번째, 우리는 복합적으로 느낌에 의지를 하게 되죠. 낌새를 느꼈다. 이런 상태는 사실 내장 감각과 관계가 있습니다.

통증 조절

감정 진화 →

내장 신경

미주 신경

첫 번째 통증 조절 두 번째 내장 신경이 관여됩니다. 내장이라는 것은 허파 심장 위 소장 대장 지라 콩팥 이 5~6가지가 다 관여합니다. 그쪽으로 다 신경이 나가 있습니다. 그리고 내장 전체로 나가 있는 신경이 우리의 느낌 감정 그 위에 가장 주춧돌을 놓는데 그 신경을 미주신경이라고 합니다.

미주 어지러울 迷 달릴 走, 그래서 Vagus nerve. 미주신경이 뱃속에 있는 모든 장기에 신경이 나가있습니다.우리가 배가 고프면 혈중에 글루코스 농도가 떨어지죠. 허파나 심장 쪽으로 가는 쪽에서는 호흡을 할 때 이산화탄소 산소 농도를 측정하죠. 그게 내장신경입니다. 내장신경에서 가장 핵심이 미주신경입니다. 그래서 세 번째로 다시 미주신경을 써놨는데 이 말 그대로 미친 듯이 달린다. 베이가스란 말이 방랑자란 말이거든요.

출발은 뇌 연수 쪽에서 시작 해서 3~40cm씩 내려가서 우리 모든 복부 안에 있는 장기 속으로 다 들어가 있어요. 그래서 우리가 속이 편하다 배가 아프다 아픈 걸 느끼는 거는 배가 아니고 브레인이잖아요. 그러면 이 창자하고 브레인 사이에 연결돼 있어야 배가 아프다는 걸 느끼잖아요. 그 연결이 미주신경입니다.

우리 감정은 접근하고 회피 두 가지 기본이라 그랬어요. 접근할 때는 에너지가 들잖아요. 싸우든지 화를 내든지 접근할 때는 에너지가 들기 때문에 우리를 접근하게끔 해주는 것을 교감신경이라고 그래요. 그럼 교감신경은 항상 우리가 액티베이션 돼 있고 에너지를 쓰니까 그걸 많이 쓰면 탈진을 해버리겠죠. 그래서 많이 쓰기 전에 적당하게 상황이 끝나면 우리 신체 상태를 곧장 편안한 상태로 돌려주는 게 부교감신경.

교감신경은 어떤 식으로 가느냐 하면 우리 브레인 전체와 관련이 있긴 한데 특히 척추에요. 척추신경이 쭉 내려와 거의 40cm정도 됩니다. 척추신경 바로 옆에 양쪽으로 두 개 염주처럼 요렇게 나오는 두 가닥 노란 가닥이 있습니다. 교감 신경 체인 혹은 교감 신경 기둥이라고 합니다.

척추 -> 척추신경기둥(시냅스) -> 내장 전체

척추에서 교감신경 기둥까지 신경이 나가고 교감신경 기둥에서 시냅스를 합니다. 연결을 하고 교감신경 기둥이 우리 척추 마디를 타서 쭉 양쪽 따라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갈빗짝 안에 보면 그게 노란 줄이 보입니다. 척추 신경 기둥에서 신경이 쭉 빠져나가는데 그게 우리 내장 전체로 나가 있습니다. 그게 교감 신경입니다.

굉장히 긴장을 하면 설사 나는 이유가 교감 신경이 너무 흥분해서 배를 자극해서 그런 겁니다. 간단히 하겠습니다. 에너지를 많이 쓰는 상황이 끝나면 곧장 에너지를 세이브 해야 되죠. 부교감 신경이 작동합니다. 부교감 신경은 7번 안면 신경. 침을 많이 분비하게 합니다. 그다음에 그 밑에 있는 9번 설인신경이라는 신경이 있습니다. 설인신경은 맛, 혈압, 호흡, 내부 장기 신호 이 4가지를 다 처리합니다.

특히 중요한 신경이 10번 신경입니다. 10번신경이 몸 안 전체에 들어서 흥분된 상태를 다독거려 줍니다. 편안하도록. 음식을 먹고 나서 쉬고 있을 때. 소화할 때 바로 부교감신경 미주신경이 위, 창자에 가서 맹활약을 합니다. 이렇게 부드럽게 영양분을 섭취하도록 하는 거죠. 그래서 미주신경은 심장 박동을 줄여줍니다. 만약 미주신경이 굉장히 강하게 작동을 해버리면 심장이 멎을 수도 있습니다.

(요약중)

감정을 진화적으로 봐야 되는 중요한 게 뭐냐 하면 우리 지구상에 이 다세포 동물들이 그 감정의 진화 가장 뿌리는 뭐냐 하면 스탑하는 겁니다. 멈춰버리는 그래서 곤충에서부터 인간까지 위급한 상황이 다르다면 멈춥니다. 죽은 척해버립니다. 우리 초등학교 기억납니까 곰한테 곰이 나타나면 딱 죽은 척하라 그런 이야기 있잖아요. 그게 상당히 일리 있는 이야기입니다. 어떤 측면에서는 우리가 모든 사람이 사람도 모든 동물은 첫 번째 생존반응이 스탑하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렇게 스탑하는 게 유리한 게 뭐냐 하면 내가 먼저 주먹을 낸다든지 먼저 행동을 취하면 상대가 그걸 공격 유발 신호로 해석해 버립니다. 그래서 스탑하는 게 지구상의 모든 다세포 동물의 첫 번째 생존 전략입니다. 그럼 스탑을 하면 얼어붙으면 미세신경이 강하게 작동하면 초기 미경이 강하게 작동하고 얼어붙어 버리고 나면 안전하긴 하는데 만약에 나중에 상황에 따라서 내가 도망을 가야 되잖아요. 혹은 내보다 약한 거 있으면 접근을 해야 되잖아. 먹잇감을 접근해야 되는데 얼어붙기만 하면 안 된다는 거예요. 그래서 진화의 두 번째 단계가 뭐냐 하면 얼어붙는 게 해동하는 녹어 녹는 상태가 일어나 이게 또 엄청난 시간이 걸려서 두 번째 단계가 뭐냐 하면 어 얼어붙고 그다음에 이게 녹았어요. 해제가 되면서 그다음에 접근하고 회피가 가능해요. 근데 접근 회피도 엄밀하게 여러분들 보셔야 돼요. 이게 2개가 동등한 게 아닙니다.

뭐가 많으냐 하면 회피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 이건 진화적으로 우리 포유동물이 4천 종이 넘습니다. 그중에 포유동물 4천 종 중에 접근을 맹렬하게 하는 종이 맹수들입니다. 맞죠. 냉수들 그러니까 식육류라고 하는데 식육목에 해당되는 동물은 몇 종류가 없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개과 동물 늑대 뭐 이리 여우 개과 동물 두 번째가 뭐냐 하면 고양잇과 동물입니다. 고양이 동물에서 사자 호랑이가 나왔습니다. 이 몇 종류를 제외하고 지구상에 있는 대부분 동물들은 피식자들입니다. 호모사피엔스 인간도 위로 올라가면 600만 년 전에 챔피언스 갈라져가 여기까지 내려오는 과정에서 대부분 우리는 피식자였습니다. 도망 다녀야 돼요.

그래서 그나마 조금 나아진 게 200만 년 전쯤에 불을 사용하고 도구를 사용하면서부터 우리는 맹수를 접근을 못 해도 후쳐낼 수는 있을 정도가 된 거예요. 그리고 한 뭐 6만 년쯤 왔고 활을 발견하면서 발명하면서부터 사냥에 나갔지 인류 역사상 아니 대부분의 시간은 우리는 도망 다녔습니다. 그래서 접근 회피 반응에서도 압도적인 많은 게 회피입니다. 그래서 시험 앞둔 사람은 뭐 설사나 하든지 이러잖아요. 그 다음에 뭐 이렇게 어려운 자리 가면 사람이 얼어붙잖아요. 됐죠 얼어붙기 회피 반응은 항상 일어납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우울증 걸리는 것도 일종의 회피 반응으로 보시면 돼요. 사회적 회피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거의 한 7대3 정도로 회피가 많습니다. 그래서 회피가 너무 많으면 어떻게 되느냐 하면 동물의 회피 많은 회피 반응이 많은 동물을 나열해보면 토끼 한번 써보세요. 산토끼 근처 뭔 갑니다. 도망갑니다. 노루 한번 생각해 보세요.

제가 언젠가 산에 와서 노루를 본 적이 있는데, 아주 기억이 나요? 건너 산 능성이에 한 500m 떨어졌는데 노루를 봤어요. 제가 500m 떨어져 도망을 가더라고. 그래서 우리는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사회적 거리가 우리 인간 사이에 다 있습니다. 좁은 엘리베이터에서 부장하고 같이 있어 보세요. 예 말단지구 그러면 껄끄럽잖아요. 그러니까 안 되니까. 이렇게 바깥에 뭐 이렇게 보고 있는 거예요. 회피 반응입니다. 그 말은 뭐냐 하면 우리 모든 동물은 편안해하는 안전거리가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 안전거리가 가까워야 적어도 한 10m 안에 안전거리가 돼야 사회를 구성할 수 있잖아요. 그래서 토끼나 노루와 사회를 구성하기 어렵습니다. 야생동물은 의외로 사회를 구성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뭐 늑대나 뭐 들소들이 무리를 지어 사는데 이렇게 하는데 그건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인간의 사회적 가고 결론 그게 무슨 말이냐 하면 우리가 미주신경이 굉장히 발달하면 다시 돌아와서 회피 반응이잖아요. 어 즉 접근은 교감이고 이렇게 안전모드 이렇게 하는 거는 저 부교감 쪽입니다. 그러면 회피 반응이 더 강하면 뭉칠 수가 없잖아요. 그래서 회피 반응 쪽으로 가는 거는 에너지를 세이브 하는 겁니다. 위기상을 벗어나는 겁니다. 그러면 이것만 도미넌트해지면 우리가 뭉칠 수가 없어요. 다시 말해서 모험심이 안 생긴다는 거예요. 진취적이 안 된다는 거예요. 그래서 어떻게 되느냐 하면 동물에선 아직 그렇습니다. 동물은 가까이 가면 도망을 갑니다. 위험하면 끊임없이 도망가니까는 우리가 동물원에 우리의 사자나 명수를 가둬놓으면 하는 역할이 모든 동물이 하는 역할이 끊임없이 맴돕니다. 막 다니잖아요.

교감신경이 강해지면 저 부교감신경 미신경 강해지면 스탑한다고 그랬잖아요. 고게 이제 회피입니다. 스탑이 극단적으로 하면 그러면 접근을 하려면 새로운 신경이 진화돼 나와야 돼요. 그게 인자 우리 호모 사피엔스에서 굉장히 강하게 진화됐다는 증거들이 있어요. 고게 뭐냐 하면 미주신경 중에 일부가 교감 심장으로 가는 교감신경을 너무 강하게 박동하는 걸 적당하게 조율해 준다는 거예요. 그래서 비유를 들어주면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동무 우리가 굉장히 빠른 스포츠카가 코너링을 할 때 제어 장치가 강하면 브레이크가 강하면 제어 반경이 커지겠죠. 브레이크가 약하면 빠른 속도로 달리면 제어할 수 있는 반경이 짧아지겠죠. 바로 동물은 그 상태입니다. 그 제어하는 그 두 번째 진화된 미주신경 그걸 백종미주신경이라 하는데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백종미주신경이 이 제어하는 역할이 동물한테 좀 낮으면 행동방향이 좁습니다. 그래서 동물들은 자기가 편안하게 사는 환경에서만 삽니다. 됐죠 토끼나 노루는 가는 길만 갑니다. 환경이 정해져 있습니다. 그래서 강아지들이 아침에 나오면 오줌을 찍찍 싸잖아요. 그 환경 내가 자기 영역이라고 그런 좁은 영역을 울타리 치는 겁니다. 간단히 심리적으로 어떻게 됐죠 그런데 우리는 사회를 구성하려면 행동반경이 커야 돼요. 됐죠 그럼 행동반경이 크면 그 제어할라면 브레이크가 좋아야 돼요. 그걸 이제 최근에 이쪽 하는 사람 뭐라 그랬냐면 미주신경 미주 베이갈 브레이크라 그래요. 그 베이갈 브레이크가 뭐냐 하면 속도가 빠르고 행동이 빠른데도 이걸 빨리빨리 제어해 주니까네 우리는 행동반경이 넓게 interaction을 할 수가 있게 된다는 거예요. 그래서 우리 호모사피엔스는 사회를 구성할 수 있게 됐다는 거예요.

놀랍게도 그 배 쪽 미주신경이 하는 역할을 봤더니, 그 백종민지신경을 요즘 뭐라 부르느냐 하면 엠비규어스 너버라 그래요. 뉴클레우스 그러니까 애매핵 이름 그러니까 너무 어려워 갖고 그쪽도 해발하자면 애매하다 해서 애매핵 혹은 의문핵 하는데 그 의문핵 혹은 애매핵이라는 고 부위가 있습니다. 고 핵이 하는 역할이 뭐냐 하면 바로 우리 보컬 목소리를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이걸 이쪽을 라린지알 후두라고 하는데 후두 요 갑상연골 요 밑에 가락지 연골 있잖아요. 가락지 연골 갑상연골 만져지는데 그 속에 성대가 있습니다. 그 안에 아리테노이드라는 연골이 있습니다. 그쪽 이쪽을 관장하는 신경이 나림지알이라고 하는데 후두신경입니다. 그게 바로 지금 이야기하는 배 쪽 미주신경에서 파생돼 나옵니다.

그래서 우리가 결국은 사회를 구성하고 불안한 감정을 이기면서 사회를 구성하게 된 이유가 뭐냐 하면 원인이 그 힘이 어디에서 나오느냐 하면 이쪽 목소리 다시 말하면 언어가 출현했다는 겁니다. 언어가 출현했다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두 번째 시간에 언어를 상정하게 된 게 뭐냐 하면 언어가 출현했기 때문에 우리는 어렵고 굉장히 복잡한 상황을 말로 말로써 협상을 통해서 해결한다는 거예요. 그래서 국가를 넘어서도 이렇게 연합이 가능해지는 겁니다. 전부 다 말을 통해서 하죠. 그래서 다시 한번 요약해 드리면, 우리 감정의 진화는 기본이 접근하고 회피라는 거예요. 그러면 원초적 상태는 스탑입니다. 스탑에서 두 번째 상태가 접근하고 회피입니다. 근데 압도적으로 회피가 많다는 거예요. 회피만 있으면 우리는 뭉쳐 살 수가 없잖아요. 그러면 동물은 그래서 뭉쳐 살기 어려워요 인간은 뭉쳐 살게 됐잖아요.

사회를 구성하게 됐잖아요. 그 그 진화적 원동력이 뭐냐 하면 모일 수 있도록 interaction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안전망이 불안정 요소를 낮춰준 거예요. 그리고 그 낮춰주는데 일등공신이 뭐냐 하면 언어입니다. 말을 통해서 인텍션을 하게 되면서 그게 가능해집니다.

by willychoi